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기초-8] Array 기본 메소드-2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도 기본 메소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 Array의 아이템들을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할 땐 sort()를 쓰면 됩니다. var arr = ["Bear", "Cat", "Ant", "Elephant", "Dog"]; arr.sort(); console.log(arr); // 결과 -> ["Ant&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기초-7] Array의 기본 메소드 개발을 하다보면 반드시 사용하게 될 Array (배열).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array의 메소드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게 가능하구나 정도로만 알고 있으면, 나중에 개발할 때 솔루션을 생각할 때 도움이 됩니다. #Array의 기초 자바스크립트에서 array는 []로 표현합니다. var arr = []; // 아이템이 없는 빈 array var arr = ["Hello", "Bye&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기초-6] 변수를 생성하는 법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생성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각각의 변수 생성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ar 우선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var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영어 "Variable"의 약자로 변수를 뜻합니다. 특징으로는 생성한 변수의 값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고, 다시 같은 이름의 변수를 재정의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var a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의 모듈화와 표준에 대하여 자바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모듈화 기능이 없었다. 여러 .js 파일로 쪼개서 모든 파일들을 일일이 <script> 태그를 이용하여 불러오는 방법이 있긴 했지만, 이 방법에는 문제가 많았다. 1. 파일을 불러들이는 순서가 중요하다. 2. 따로 만든 오브젝트들이 모두 글로벌 변수에 저장이 된다. 3. 변수의 이름이 겹치게 되면 에러가 난다. 4. 그럼으로 다른 사람이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기초-5] this에 대해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읽다보면 this가 자주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his는 함수 안에서 사용되는데, 처음엔 그 사용법이 헷깔릴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this는 해당 함수를 실행한 오브젝트를 뜻합니다. var a = "Hello" function test() { var a = "Bye"; console.log(this.a); } test(); // 결과 -> "Hello&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기초-4] 함수 (Function) & 콜백 (Callback) 함수는 프로그램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코드를 말합니다. 다른 말로는 메소드(method)라고 불리우는데, 오브젝트 안에 있는 속성들 중, 값이 primitive data types가 아니고 함수인 경우를 해당 오브젝트의 속성이 아닌 메소드라는 식으로 표현합니다. var obj = { name: "John", age: 20, say_hello: function () { console.log("Hello"); } } obj.say_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기초-3] 변수 변수(Variable)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글로벌 (Global) 변수 -> 어플리케이션 어디에서도 값을 불러올 수 있는 변수 2. 로컬 (Local) 변수 -> 함수 안에서만 유효한 변수 #글로벌 변수 글로벌 변수는 두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var a; typeof a; // 결과 -> undefined b; typeof b; // 결과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기초-2] 데이터 타입 과 레퍼런스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든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들을 데이터 타입이라고 하는데,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이 데이터 타입의 종류와 차이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레퍼런스(Reference)는 직역하면 참조라는 뜻이 됩니다. 변수를 생성하고 그 값을 지정해줄 때 다른 변수를 참조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결과는 참조하는 변수가 어떤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기초-1] 오브젝트 아래 예제 코드들을 크롬 브라우저의 Developer Tools의 Console 탭에서 직접 실행해 가면서 진행하면 좋습니다. 맥에서는 option+command+i 단축키로, 윈도우는 F12 혹은 Control + Shift + i 단축키로 Developer Tools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론적인걸 완벽하게 이해하기 보다는, 직접 코드를 쳐보면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원리를 감각적으로 익히는 것이 도움이 더 많이 됩니다.